[스크랩] 기림사 祇林寺
기림사 祇林寺
경북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함월산含月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의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천축국天竺國 승려 광유대사光有大師가 창건하여 임정사林井寺라고 하다가
원효대사元曉大師가 확장하고 중수하여 기림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시대 철종 14년(1863년) 본사本寺와 요사寮舍 113칸이 불타 없어졌다.
당시 지방관이던 송정화宋廷和의 혜시惠施로 중건한 것이 현 건물이다.
다행히 《경상도영주제명기慶尙道營主題名記》 《동도역세제자기東都歷世諸子記》 《부호장선생안府戶長先生案》 등의 중요한 문적文籍과
근세조선 역대 왕의 어필御筆 등이 병화兵火를 입지 않고 보관되어 있다.
이 밖에 목탑지木塔址, 3층석탑, 오백나한상(지방유형문화재 214) 등이 있고,
보물로 대적광전大寂光殿(보물 제833호), 건칠보살좌상乾漆菩薩坐像(보물 제415호), 삼신불三神佛 (보물 제958호), 복장유물(보물 제959호) 등이 있다.
# 일주문
@ 일주문 현판
# 천왕문
# 기림사 삼층석탑 祇林寺三層石塔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05호
643년(선덕여왕 12)에 창건된 기림사대적광전大寂光殿 앞뜰에 있는데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하층기단은 갑석甲石부터 남아 있고, 상대중석上臺中石에는 우주[隅柱: 모서리기둥]와 탱주[撑柱: 버팀기둥]가 하나씩 모각模刻되어 있다.
그 위에 놓인 상대갑석上臺甲石의 윗면에는 4단으로 된 옥신 괴임이 있다.
각 탑신석塔身石에는 상대중 석면에 모각되어 있는 우주와 같은 것이 있다.
초층의 옥개석[屋蓋石: 지붕돌]에는 4단의 옥신괴임이 갖추어져 있다.
2·3층의 옥개석 역시 4단의 옥신괴임이 갖추어져 있고, 체감률이 고르다.
옥개석의 추녀는 낙수면이 완만하며 전각轉角이 약간 반전되어 있다.
현재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 · 앙화仰花가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 기림사 대적광전 祇林寺大寂光殿 : 보물 제833호
대적광전은 불교 사찰에서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본존으로 모시는 당우堂宇를 말한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조선 중기의 다포계多包系 단층 맞배지붕 건물이다.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세운 기림사의 본전本殿으로 여섯 차례 고쳐 지었다.
현재의 건물은 5차 중수重修 때 형태를 갖추고 있는데,
조선시대 인조 7년(1629년) 무렵에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대석의 낮은 기단에 초석을 놓고 두리 기둥을 세웠으며
앞면에는 화려한 꽃살 분합문分閤門을 달았다.
웅장한 건물 내부는 넓고 화려하며 장엄한 분위기를 지닌다.
다포 양식의 이 건물은 조각을 많이 넣은 공포栱包 및 내부의 가구架構 수법이
17세기 초의 다포 양식을 갖추고 있는데, 특히 중수할 때 옛 모습을 재현하였다.
장엄하고 견실한 구조를 지닌 조선시대의 대표적 불전佛殿이다.
@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존불상 祇林寺塑造毘盧遮那三尊佛像 : 보물 제958호.
대적광전大寂光殿 중앙에 비로자나불, 좌우에 노자나불盧遮那佛과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봉안되어 있다.
특히 비로자나불은 나발螺髮의 머리칼에 육계가 큼직하며, 얼굴은 방형方形이지만 상당히 세련된 모습이다.
코는 큼직하고, 눈은 반개半開하였으며, 귀는 알맞게 처리되어 조선 전기 불상의 근엄하면서도 정제된 표정이 잘 나타나 있다.
상체는 장대하고 당당하지만 양감量感은 풍부하지 않은데,
결가부좌結跏趺坐한 하체의 무릎은 무척 넓은 반면, 높이가 비례적으로 낮은 편이다.
왼팔로 내려온 주름은 팔꿈치 부근에서 Ω형形을 이루고 있다.
상의裳衣는 배 부근에서 띠로 묶었으며, 상단 옷깃이 주름잡혀 있다.
전반적으로 조선 전기의 불상양식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 가운데의 비로자나불
* 좌우에 노자나불盧遮那佛과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 꽃살문
@ 목탁의 유래를 나타내는 그림 :
목어에 관한 유래 중의 하나....
옛날 한 승려가 스승의 가르침을 어기고 옳지 못한 행동을 하다가 죽은 후 물고기 몸을 받아 다시 태어났는데,
등에 나무 한 그루가 나 있어 풍랑이 칠 때마다 나무가 흔들려서 피를 흘리는 고통을 당했다.
스승이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다가 물고기로 환생한 제자가 고통을 받는 모습을 보고, 수륙재水陸齋를 베풀어 물고기를 해탈하게 하니,
물고기는 지난 날의 잘못을 크게 뉘우치고 등에 있는 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어서 모든 사람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도록 했다.
# 기림사 건칠보살좌상 祇林寺乾漆菩薩坐像 : 보물 제415호
높이 91cm, 너비 51cm.
@ 인터넷에서 인용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목조원체木造原體 위에 비단 헝겊을 싸고 호분胡粉으로 도장하였다.
타래머리를 한 위에 보관寶冠을 따로 만들어 얹었으며 당초무늬를 화려하게 투각하였다.
자세는 왼손을 대좌에 짚고 오른다리는 대좌 아래로 내린 반가좌를 하였는데
이런 자세로 보아 관음보살임을 짐작할 수 있다.
어깨는 좁지만 가슴은 당당하고 신체의 어디에서나 조선시대 목불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최근에 이 보살상의 하대下臺 상면에서 발견된 묵서명墨書銘에 <홍치24년弘治二十四年…>이라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501년(연산군 7)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양식이 중국 원元나라의 계열이라 꼭 이 시기에 조성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 한국에는 건칠불상이 매우 희소한 편인데
이 보살상은 조각수법도 뛰어나고 연대도 명확하여 도상학적으로도 매우 귀중하다
# 기림사 관음전
@ 관음전 내의 천수관음상
# 응진전祇林寺應眞殿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14호
오백나한상을 모신 전각이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조선 후기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로 된 다포식多包式 건물로, 화려하게 치장하지 않은 단정한 형태이다.
장대석長臺石을 한 단 쌓은 낮은 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앞·뒷면에는 두리기둥, 측면에는 네모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내·외이출목內外二出目으로, 각 기둥 사이에 1구씩 간포間包를 짰다.
가구架構는 5량가五樑架이며 대들보와 종보 위에 파련대공[波蓮臺工: 풀잎무늬를 새긴 대공]을 세웠다.
천장은 드물게도 전체를 빗반자를 치고 단청을 하였다.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문비구성은 전면 각 칸에 이분합二分合 교살문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18세기 이후의 건축양식으로 짜여져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관용사대웅전(보물 212호)과 흡사한 조선 중기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 약사전 祇林寺藥師殿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52호
약사전은 모든 중생을 병고에서 구하여 깨달음으로 인도한다는약사불藥師佛을 주불로 모시는 불당이다.
기림사의 약사전은 창건연대를 알 수 없으며 1654년(효종 5) 중창 기록이 있다.
# 기림사 진남루 祇林寺 鎭南樓
임진왜란중 기림사가 수군水軍과 승병僧兵 활동의 근거지로 활용되면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측한다.
지붕은 옆면으로 보면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이다.
일반적으로 누樓라고 하면 중층 건물이나 다락집 형상을 의미하나 여기서는 일반적인 형태를 벗어나 있다.
* 전면
* 후면
# 기림사에는 다섯 가지의 맛을 내는 물이 있다고 한다.
1) 장군수 : 대적광전 앞 삼층석탑 옆에, 기개가 커지고 신체가 웅장해져 장군을 낸다고...
* 장군의 출현을 두려워한 일본인들이 장군수를 막아버려 물이 끊겼다고 함.
2) 오탁수 : 천왕문 안쪽, 물맛이 좋아 까마귀도 쪼았다는 물.
3) 명안수 : 천왕문 밖 절 초입, 기골이 장대해지고 눈이 맑아지며
4) 화정수 : 후원에 있는, 마실수록 마음이 편안해 지고,
5) 감로수 : 북암에 있는, 하늘에서 내리는 단 이슬과 같다.
* 삼천불전 앞에 있는.....
# 매월당 영당 梅月堂 影堂
생육신의 한 사람인 매월당 김시습金時習(1435-1493)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본래의 영당은 현종 11년(1670) 경주부사 민주면이 선생의 뜻을 추모하기 위해 선생이 은거하였던 용장사 경내에 오산사鰲山祠를 지었으나
고종 5년(1868)에 훼철毁撤되었다.
이를 애석하게 여긴 경주유림이 경주부윤 민창식에게 청원하여 함월산 기림사 경내에 다시 지었으나 퇴락되어
1998년 경주시에서 현재의 위치에 중건하였으며, 매년 음력 2월 중정에 향사를 봉행하고 있다.
선생은 세종 17년(1435) 서울에서 태어나 신동으로 장래가 촉망되었으나
단종 3년(1455)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자 세상사에 뜻을 버리고 불교에 귀의하여 전국을 유랑하다가
세조 10년(1465) 경주 금오산 용장사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저술하였다.
그후 성종 2년(1471) 경주를 떠나 일시적으로 환속하였으나 성종 24년(1493) 충청도 홍산 鴻山의 무량사無量寺에서 일생을 마쳤다.
선생의 시호諡號는 청간淸簡이다.
# 범종각과 운판
# 출입이 금지된 당우....
마루에 개한마리가 한가롭다.